728x90
전날의 Ifkakao2022 이게 돼요? 도커 없이 컨테이너 만들기 세션을 이어서 2시간 20여분의 핸즈온을 마무리헀다. # 요약 패키징 저장 중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인 리눅스 Overlay Filesystem을 사용하는 이유와, 이를 마운트하는 과정을 실습하며 세션을 이어갔다. - 1:07:12 진행했던, myroot와 tools 디렉토리를 LowerDir로 두고, 별도의 디렉토리를 통해 UpperDir, WorkDir 및 Merged View를 지정하여 오버레이 마운트를 진행했다. mount -t overlay overlay -o lowerdir=tools:myroot,upperdir=rootfs/container,workdir=rootfs/work rootfs/merge 이러한 코드..
본 포스팅은 2022 Ifkakao 이게 돼요? 도커 없이 컨테이너 만들기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if(kakao)dev2022 함께 나아가는 더 나은 세상 if.kakao.com 현재 대부분의 어플리케이션은 컨테이너 형태로 동작하는데, 도커나 쿠버네티스를 사용하는 방법만 알지, 컨테이너에 대해 들여다보는 노력을 안한 것 같아서, 이를 직접 다뤄보기 위한 시간을 갖게 되었다. 컨테이너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리눅스 개념들은 chroot, cgroup, namespace 등이 있다고 개념만 이해하고 있었지 정확하게 어떤 요소가 "컨테이너"라는 독립적인 워크로드를 만드는지에 대한 이해를 하기 위함이다. 이를 혼자서 진행하기 보다는, IfKakao에서 "도커 없이 컨테이너 만들기 " 라는 세션을 알고 있었고,..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