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동원 예비군을 다녀오니 선물(?)과 같이 코로나 양성 판정을 받게되었다. 지금까지 코로나에 한번도 안걸렸다는 자부심을 갖고 나름 살아왔는데, 슈퍼 면역자? 그런건 없었다고 한다. 사실 본인은 특정 시즌이 되면 항상 심한 편도염이 찾아왔었다. 고등학교 1학년 때.. 자대배치 이후 유격훈련.. 등등 이번 목아픔 또한 "그놈이 또 왔구나" 라는 생각을 가지고 기침도 안하고 콧물도 안나오니깐 편도염이겠거니 생각했다. '나'의 기관지 보호를 위해서 마스크를 스스로 쓰고 다녔었는데, 어쩌다 보니 주변 사람들에게 조금이나마 피해를 덜 끼칠 수 있었던 것 같아서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이번 예비군동안 운전해주었던 형과 퇴소 후 저녁을 같이먹었던 가족들이 코로나에 걸리지 않기를 바라면서... 몸 상태 이제 격리..
Python List 기본 정렬 방법 1차원 배열(List of Python)에선 정렬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정렬은 오름차순 정렬과 내림차순 정렬이 존재하고, Python의 경우 내장 함수와 List 클래스의 메소드로 List의 정렬을 기본적으로 제공한다. 아래는 Python에서 List를 각각 오름차순, 내림차순 정렬하는 코드의 예시이다. TestList=[5, 15, 2, 6, 12, -15, 4, 9, 11] TestList.sort() # inplace Sort - Method of List TestList.sort(reverse = True) # inplace Sort - Method of List sorted(TestList) # Function of Python sorted(TestList..
소수(Prime Number)란? 소수는 자기 자신과 1로만 나누어 떨어지는 자연수이다. 2, 3, 5, 7, 11, 13, 17 , , , 소수 판별법 1 - O(N) 방식 만약 한 숫자에 대해서 소수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느린) 방법으론 2 ~ 해당 숫자인 숫자들의 나머지 연산 결과가 0인지 아닌지를 조건문을 통해 판별하면 된다. 이런 방식을 사용할 경우, 시간 복잡도는 O(N)을 갖게된다. 7에 대해서 소수 판별을 적용하면 7 % 2 = 1, 7 % 3 = 1, 7 % 4 = 3, 7 % 5 = 2, 7 % 6 = 1 따라서, 7은 1과 7을 통해서만 나누어 떨어지므로 소수이다. 이를 Python 예시로 확인하면 다음과 같다. def isPrime_BigON(N): isPrime..
최대공약수 - Greatest Common Divisor 최대 공약수는 두 수를 모두 나눌 수 있는 수 중에 가장 큰 수이다. ex) GCD of 15 and 7 is 1 ex) GCD of 25 and 15 is 5 최소공배수 - Least Common Multiple 최소 공배수는 두 수의 공통된 배수 중 가장 작은 수이다. ex) LCM of 15 and 7 is 105 ex) LCM of 25 and 15 is 75 최대공약수(GCD)와 최소공배수(LCM)의 관계 최대 공약수와 최소 공배수는 아래의 관계를 가진다. A * B / GCD of A and B = LCM of A and B 이를 위의 예시에 적용하여 풀면 아래와 같다 7 * 15 / 1 = 105 is LCM of 7 and 15 25..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